티스토리 뷰

반응형

사랑에 대한 모든 것이라는 영화는 스티븐 호킹 박사의 실화 이야기를 다룬 영화다. 1942년에 태어나 55년간의 루게릭이라는 불치병을 안고서  2018년에 사망하였다. 이번 영화는 줄거리보다 그의 업적과 그가 가지고 있었던 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영화 사랑에 대한 모든 것
영화 사랑에 대한 모든 것 포스터

 

스티븐호킹의 루게릭병

스티븐 호킹은 루게릭병이라고도 불리는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으로 알려진 신경퇴행성 질환을 앓고 있었다. ALS는 뇌와 척수의 신경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진행성 질환으로, 점진적인 퇴화와 수의근 조절 상실을 초래한다. 다음은 ALS, 증상, 진행 및 영향에 대해 조금 세부적으로 알아보자. 원인 및 메커니즘: 자발적인 근육 운동을 제어하는 ​​신경 세포인 운동 뉴런의 퇴화를 진행시킨다. 정확한 원인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질 뿐이다. 증상: 초기 증상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지만 종종 근육 약화, 경직, 경련(매혹), 말하기, 삼키기가 어려운 증상이 나타난다.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개인은 근육 약화 및 위축(수축)이 증가하여 이동성, 호흡 및 일상생활활동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진행: ALS는 일반적으로 점진적으로 진행되며, 더 많은 운동 뉴런이 영향을 받으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악화된다. 진행 속도는 개인마다 크게 다를 수 있으며, 일부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감소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더 빠르게 악화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스티븐 호킹은 시한부선고를 받고서 55년을 살았기 때문에 병의 진행속도가 느렸음을 알 수 있다. 치료 및 관리: 현재 ALS에 대한 치료법은 없으며, 치료는 증상 관리, 기능 보존, 삶의 질을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약물 치료뿐 아니라 이동성, 독립성 및 의사소통 능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물리치료, 작업 치료, 언어 치료도 포함된다.

*루게릭병의 이름: 루게릭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미국의 유명한 야구선수 헨리 루이스 게릭에게서 구어체 이름을 따왔다. 1939년 36세의 나이에 게릭은 뇌와 척수의 운동 뉴런에 영향을 미치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 진단을 받는다.

이 진단으로 게릭은 근육 약화, 위축, 협응력 상실 등의 증상을 경험하기 시작하면서 게릭의 빛나는 야구 경력을 사실상 끝냈다. 게릭의 진단은 당시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던 ALS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일으켰다. 게릭의 진단과 그의 명성에 따라, ALS는 그를 기리기 위해 루게릭병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박사의 이론 물리학 연구

스티븐 호킹은 물리학과 우주론의 분야에 중요한 공헌을 한 이론 물리학자였다. 블랙홀과 호킹 복사: 호킹의 가장 유명한 공헌 중 하나는 1974년에 제안된 호킹 복사 이론이다. 그는 양자역학과 일반 상대성이론의 요소를 결합하여 이전처럼 블랙홀이 완전히 검은 것은 아니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대신 사건의 지평선 근처의 양자 효과로 인해 방사선을 방출한다고 한 것이다. 양자효과: 사건의 지평선 근처에서는 진공 상태의 양자 변동으로 인해 가상 입자와 반입자 쌍이 지속적으로 튀어나오고 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입자와 반입자 쌍은 거의 즉시 서로를 소멸하므로 주변 환경에 대한 순 효과는 무시할 수 있다. 사건의 지평선 역학: 그러나 블랙홀에의 사건의 지평선 근처에서는 한 쌍의 입자가 블랙홀로 떨어지고 다른 입자는 탈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블랙홀로 떨어지는 입자는 블랙홀의 질량을 약간 감소시키는 반면, 탈출하는 입자는 실제가 되어 방사선으로 감지될 수 있다. 복사 방출: 호킹의 계산에 따르면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 빠져나가는 입자는 호킹 방사선이 되어 블략홀에서 에너지를 운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방사선은 블랙홀의 질량을 감소시키고 수축시킨다. 방출된 방사선은 일반적으로 광자 형태이지만 블랙홀의 특성에 따라 다른 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블랙홀 증발: 호킹의 이론에 따르면 블랙홀이 물질이나 방사선을 흡수하는 등 다른 소스에서 얻는 것보다 호킹 방사선을 통해 더 많은 질량을 잃는다면 결국 완전히 증발하게 된다. 이 과정을 블랙홀 증발이라고 한다. 큰 블랙홀의 경우 증발 속도가 극도로 느리고 거의 무시할 수 있지만, 작은 블랙홀의 경우 증발 과정이 가속화되어 결국 사라지게 된다. 우주론과 빅뱅: 호킹은 우주론 분야, 특히 우주의 기원과 진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그는 물리학자 로저 펜로즈(Roger Penrose)와 협력하여 특정 조건 하에서 우주가 무한한 밀도와 곡률의 지점인 특이점으로 시작되었음을 보여주는 수학적 증거를 제공한 특이점 정리를 연구했다. 이 연구는 빅뱅 이론과 우주의 기원에 대한 현대적 이해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계기가 되었다. 이론적 우주론: 호킹의 연구에서는 블랙홀 특이점의 본질, 초기 우주의 인플레이션 모델, 시간의 화살, 다중우주 가설 등 이론적 우주론의 다양한 측면도 탐구했다. 그는 양자역학과 일반상대성이론의 기본 원리를 조화시켜 흔히 "만물의 이론"이라고 불리는 통일된 물리학 이론을 발전시키려고 노력했다. 정보 역설: 호킹은 양자역학 원리와 블랙홀에 대한 고전적 설명 사이의 충돌에서 발생하는 정보 역설 연구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 그는 블랙홀에 떨어지는 정보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처럼 영원히 손실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블랙홀에서 방출되는 호킹 복사에 인코딩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 아이디어는 블랙홀 물리학의 기존 개념에 도전했고 물리학자들 사이에서 격렬한 논쟁을 불렀다. 대중 과학 및 홍보: 호킹은 기술 연구 외에도 복잡한 과학적 아이디어를 더 많은 청중에게 전달하려는 노력으로 유명하다. 

 

에디 레드메인의 또 다른 영화

<신비한 동물사전> 뉴트 스캐맨더 역할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sf 영화다. 1926년 신기하고 기이한 마법 동물들을 찾아서 기록을 남기기 위해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모험을 하는 이야기로 이 영화에서 에디 레드메인이란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더 에어로넛츠> 기상학자 제임스 역할로 날씨를 이해하고싶어 열기구를 타고서 모험을 떠나게 되고 11,277m  높이의 하늘에서 고립되는 이야기. 여기서 나오는 여자 주인공 펠리시티 존스는 에디 레드메인과 <사랑에 대한 모든 것> 영화에서 호흡을 맞춘 바 있다. <그 남자, 좋은 간호사> 영화 인터스텔라의 여자주인공으로 알려진 제시카 차스테인과 함께 찍은 영화로 둘은 간호사 역할할로 나온다. 에이미(제시카)가 있는 중환자실에서 새로운 간호사(찰리)가 오면서 의문의 사건이 일어나게 되는 영화다. 에디 레드메인은 친근한 이미지였지만 이 영화로 그의 또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웠다. <대니쉬 걸>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로 톰 후퍼 감독의 작품이다. 이 작품으로 에디 레드메인은 아카데미상을 수상하였다. 사랑하는 여자와 결혼해서 행복 살고 있지만 어느날 갑작스러운 상황으로 점차 남자로서의 정체성을 잃어버린 역사상 최초의 성전환 수술을 시도했던 한 남자의 이야기이다. 

반응형